본문 바로가기

2025 대구 임산부 혜택 바우처 총정리

by 펀이슈

목차

    임신은 축복이지만 준비할 것도 많은 시기입니다.

    ✔️ 대구시는 임산부와 출산 가정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혜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    ✔️ 2025년 현재, 꼭 챙겨야 할 대구만의 특별 지원을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출산 준비, 대구시와 함께라면 든든합니다!

    1. 출산축하금 지원

    대구 전역 및 각 구·군에서는 둘째 이상이면 자녀 수에 따라 출산축하금을 차등 지원합니다.

    군위군, 달서구, 달성군 등은 추가지급도 진행 중입니다.

    ✔️ 기본: 둘째 100만 원 / 셋째 이상 200만 원
    ✔️ 달서구: 셋째 100만 원, 넷째 200만 원, 다섯째 이상 500만 원
    ✔️ 군위군: 첫돌 축하금 별도(100만 원), 양육비 최대 45만 원/월
    ✔️ 신청처: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구청 출산보육 담당

    2. 임산부 콜택시 ‘해피맘콜’ 지원

     

    대구에서만 시행되는 교통복지 서비스! 임산부가 병원 또는 외출 시 택시를 이용하면 요금 70%를 지원받는 제도입니다.

    ✔️ 지원내용: 택시요금 70% 지원 (월 최대 3만 원)
    ✔️ 대상: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1년 이내 임산부
    ✔️ 신청: 주소지 보건소 및 해피맘콜 등록 센터

    3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

    산후도우미를 파견해 산모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돕는 국가 연계 서비스로, 대구도 소득무관 지원을 진행합니다.

    ✔️ 제공기간: 5~40일
    ✔️ 신청시기: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까지
    ✔️ 신청방법: 보건소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
    4. 출산지원금 및 첫만남이용권 바우처

    대구광역시는 임신시 출산지원사업을 하고 있습니다. (전국 보장내용 동일함)

    국민행복카드

    신청기한: 임신확인서 발급일부터 신청가능
    신청방법: 정부24 또는 주민센터
    지급항목: 단태아 100만원, 다태아 140만원 

    신생아 출생 시 신청하면 첫만남이용권  바우처 혜택을 받으 실 수 있습니다.

    신청기한: 출생 후 90일 이내
    신청방법: 정부24 또는 주민센터
    지급항목: 첫만남이용권(200만원)

    5. 대구아이조아카드 발급

    다자녀 가정을 위한 통합 혜택 카드입니다. 도시철도 무료, 공공시설 요금 감면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✔️ 대상: 2자녀 이상 가정
    ✔️ 주요혜택: 도시철도 전면 무료, 공영주차장 50% 할인
    ✔️ 신청: 구청 또는 온라인 신청

    6. 신혼부부 전세자금 이자지원

    전세자금 대출 시 이자를 대구시가 지원합니다. 자녀 수에 따라 이자 비율도 차등 적용됩니다.

    ✔️ 무자녀 0.5%, 1자녀 1%, 2자녀 이상 1.6%
    ✔️ 대상: 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용자
    ✔️ 신청: 대구시 출산보육과 (053-803-5443)

    7. 임신 전 가임력 검사비 (북구 특화)

     

     

    북구에서만 운영 중인 임신 전 검사비 지원정책! 가임력 확인을 위한 검사비를 성별에 따라 지원합니다.

    ✔️ 여성: 최대 13만 원 / 남성: 최대 5만 원
    ✔️ 대상: 예비 부모 또는 임신 준비 중인 부부
    ✔️ 신청처: 북구 보건소 방문

    8. 고등학생 입학축하금

    둘째아 이상이 대구 내 고등학교 입학 시 축하금이 지급됩니다.

    ✔️ 둘째: 30만 원 / 셋째 이상: 50만 원
    ✔️ 신청처: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대구시청

    9.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

    임신 초기~출산 전까지 건강관리를 위한 필수 영양제 지원이 보건소를 통해 제공됩니다.

    ✔️ 제공품목: 엽산제(초기), 철분제(중기~)
    ✔️ 신청처: 관할 보건소
    ✔️ 대상: 대구시 등록 임산부

    대구시는 타 시도에서는 보기 힘든 임산부 맞춤형 혜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
    각 혜택은 구·군별 세부 사항이 다를 수 있으니, 관할 보건소 또는 동 주민센터에서 꼭 확인해 보세요.
    2025년, 대구와 함께라면 건강한 출산 준비 가능합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