≣ 목차
임신은 축복이지만 준비할 것도 많은 시기입니다.
✔️ 서울시는 임산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✔️ 지금 확인하고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!
2025년, 서울시 임산부를 위한 모든 지원정책을 정리했습니다.
1. 임산부 교통비 지원 (서울맘케어 바우처)
서울시 거주 임산부라면 70만 원 상당의 교통비 바우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. 대중교통, 택시, 주유소 등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, 신청은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.
✔️ 지원금액: 70만 원
✔️ 신청기간: 임신 6주 ~ 출산 후 3개월
✔️ 사용기한: 출산일 기준 12개월 이내
✔️ 신청방법: 온라인신청 또는 동주민센터 방문
2. 국민행복카드 (진료비 지원)
병원 진료, 약제비, 건강검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진료비 지원카드입니다.
단태아와 다태아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다르며, 출산 후 1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.
✔️ 단태아: 100만 원 / 다태아: 140만 원
✔️ 신청장소: 카드사, 병원, 복지로 사이트
✔️ 신청시기: 임신 확인 후 바로 가능
3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
전문 산모도우미가 가정을 방문해 산모 회복과 신생아 돌봄을 지원합니다.
소득 기준에 따라 지원 기간과 금액이 달라집니다.
✔️ 제공기간: 5일~15일
✔️ 신청기한: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가능
✔️ 신청방법: 보건소 또는 복지로 사이트
4.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원
서울시는 임산부에게 연간 48만 원 상당의 유기농 농산물 꾸러미를 배송해줍니다.
온라인 신청 후 매월 꾸준히 받아볼 수 있어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.
✔️ 신청처: 임산부 친환경 꾸러미 사업
✔️ 제공물품: 유기농 과일, 채소, 가공식품
✔️ 신청시기: 매년 연초 선착순 접수
5. 보건소 건강관리 서비스
각 보건소에서는 임산부를 위한 건강검진, 영양상담, 엽산제·철분제 제공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.
✔️ 제공내용: 무료 검사, 영양상담, 엽산·철분제
✔️ 신청방법: 거주지 보건소 예약 후 방문
6. 산후조리 경비 지원
기준 중위소득 이하 가정에는 산후조리원 비용 일부를 지원합니다. 자치구별로 지원금과 절차가 다르므로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.
✔️ 대상: 기준중위소득 이하 가정
✔️ 신청방법: 구청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 문의
7. 엄마 북(Book)돋움 사업
태교와 육아에 도움이 되는 도서를 구입할 수 있도록 도서비를 지원하는 서울시 사업입니다.
✔️ 대상: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일정 기간 이내 부모
✔️ 신청처: 서울맘케어 홈페이지
8. 서울형 가사돌봄 서비스
임산부나 다자녀 가정을 위한 가사서비스입니다. 청소, 세탁, 정리정돈 등을 돕는 도우미를 파견해줍니다.
✔️ 신청방법: 서울맘케어 홈페이지 또는 구청 복지과
✔️ 대상: 임산부, 다자녀, 맞벌이 가정 등
9.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35세 이상 고위험 임산부를 대상으로 진료비 일부를 지원합니다.
조기진통, 임신중독증 등 진단을 받은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.
✔️ 신청기한: 출산 후 6개월 이내
✔️ 신청장소: 보건소 방문 신청
서울시는 임산부의 건강한 출산과 육아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확대 중입니다.
거주지 보건소나 구청을 통해 꼭 확인하고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